본문 바로가기
연금과 복지

휴대폰 25% 요금 감면 확인 방법

by !%#^^ 2022. 4. 28.

휴대폰을 사용하며, 25% 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사용하는 휴대폰이 25% 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휴대폰 요금 감면 신청 방법과 25% 요금 감면의 단점 및 주의사항도 확인해 보았습니다.

 

기초연금을 수령하는 어르신의 경우 기본료와 통화료 50%를 감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월 최대 11,000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기에 기초연금 수령시 주민센터, 통신사 대리점 방문이나 복지로 홈페이지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휴대폰 25% 감면 기기 확인 방법

 

휴대폰 25% 요금 감면 혜택은 휴대폰을 장기간 사용하시는 분들이면,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알뜰폰을 제외한 SK, LG, KT 통신 3사를 이용하시는 경우 다음의 방법으로 선택약정 할인 대상 여부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휴대폰을 켜서 전화를 걸때 누르는 자판 화면을 켭니다.

 

2. [*#06#]을 입력하면 휴대폰 화면에 숫자와 바코드가 나오게 됩니다.

 

3. 휴대폰 화면에 나오는 15자리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를 메모하거나 복사합니다.

 

4.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에서 IMEI를 검색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 자급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5. "요금할인 대상 단말기" 조회를 선택 후 메모한 IMEI 번호를 입력합니다. 보안 문자 입력 후 "조회하기"를 선택하면 요금 할인이 가능한 단말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25% 요금할인 가능한 휴대폰인지 확인되었을 경우 사용하는 통신사 직영 대리점이나 통신사 콜센터로 전화하여 요금 감면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인터넷을 통한 통신사 사이트에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 휴대폰 25% 요금 감면 단점 주의사항

 

휴대폰 25% 요금 감면의 단점은 약정 기간내 중도해지나 통신사 변경시 할인 반환금이 부과된다는 것입니다. 사용하는 휴대폰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 25% 감면 혜택은 장점이 되나 중도에 기기 파손이나 고장 등으로 휴대폰을 변경해야 할 경우 할인 반환금이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약정 기간은 12개월과 24개월로 선택할 수 있는데 12개월 약정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중도 기기변경 고장 등의 사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할인은 기간 상관없이 25%가 적용됩니다. 알뜰폰의 경우 할인 대상이 아니라는 것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