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금과 복지

영화 헌트 결말 해석 동백림 사건

by !%#^^ 2022. 8. 19.

영화 헌트와 한산은 모두 실제 있었던 역사를 바탕으로 제작한 영화인데 헌트의 주요 인물인 암호명 [동림]이 탄생한 배경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영화 헌트 관람에서 느낀 3가지 결말과 결말에 담긴 의미 해석 후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영화 헌트 동백림 사건

 

영화 헌트는 광주 사태와 대통령 암살 작전, 암호명 [동림]이란 간첩단 사건을 융합해 다루고 있는데 먼저 안기부 내부 첩자인 암호명 [동림]의 의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헌트의 시대 배경은 1980년대로 광주 사태를 기준으로 한 시대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백림 사건은 동베를린 사건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1967년 7월 8일 중앙정보부에서 발표한 간첩단 사건으로 2006년 1월 26일 국가정보원 과거 사건 진실 규명을 통한 불법 연행과 가혹 행위 등에 대해 사과할 것을 정부에 권고한 사건입니다.

 

영화 헌트에서 안기부 내실에서 벌어지는 가혹 행위와 고문, 간첩 조작 등이 동백림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안기부 내부 첩자 [동림]이란 암호명은 동백림을 줄여 만든 것입니다.

 

영화 헌트 3개의 결말

 

영화 헌트의 결말은 김정도(정우성)의 죽음과 박평도(이정재)의 총살 장면 및 조유정(고윤정)의 정체 3가지 결말이 있습니다. 주인공 안기부 박평호 차장역을 맡은 이정재는 이 영화의 감독이기도 한데 마지막 결말에 너무 많은 상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토르4 쿠키 해석

 

영화 헌트 3개의 결말 해석

 

김정도(정우성)는 광주 사태에서 죄 없이 희생된 사람들을 보고 개혁을 하려는 개혁파였고, 박평호(이정재)는 통일을 이루기 위한 신념과 조유정(고윤정)의 사랑을 모두 가진 이중 스파이인데 첫 번째 결말인 김정도의 자폭은 시대를 바꾸려는 한 남자를 그리고 있습니다.

 

김정도의 가족이 조사에서 풀려나는 장면은 이중 스파이인 박평도의 인간적인 면을 볼 수 있는데 박평도는 통일을 하려는 신념을 가졌으나 김정도와 동일한 인간미를 가진 사람입니다.

 

김정도는 죄 없이 희생 당하는 사람들을 위해 정권을 바꾸려 했고, 박평도는 적화 통일이 될 경우 희생될 수많은 사람을 지키기 위해 대통령 암살을 막았던 것입니다. 김정도와 박평도는 동일한 생각을 가진 적이라는 것이 첫 번째 결말 해석입니다.

 

박평도는 결말에서 차 안에서 조유정(고윤정)에게 대한민국 여권을 주는데 조윤정의 확인 사살은 박평도가 처음 조윤정의 아버지의 죽음으로 조윤정을 만난 시점부터 간첩단의 작전에 휘말려 [동림]이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결말 해석은 조유정의 확인 사살 전 박평도는 조유정에게 [정말 섹시했다]는 말을 남기는데 이 부분에서 같은 간첩단인데 박평도를 감시하고 이용했던 것이 조유정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화 헌트에서 유일하게 생존한 조유정은 영화 중반부까지 아버지를 잃은 상태로 박평도에게 보살핌을 받는 불쌍한 여학생으로 나오지만, 실제 결말에서 조유정은 [동림] 감시자이며, 학생 운동을 더 이끌어 내는 이간책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 영화 헌트 결말 해석은 정치적 이념에 사랑이나 가족의 감정은 없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영화 헌트는 액션 영화이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그 시절의 희생자들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백림 사건]이나 헌트의 김정도, 박평호, 조유정은 모두 정치 이념의 희생자입니다.

 

숲속민박 낚시 풀코스 여행 후기

 

댓글